📑 목차
발로란트, 얼마나 재밌는 게임이길래..
우리 딸은 요즘 ‘발로란트(VALORANT)’라는 게임에 푹 빠져 있다. 처음엔 ‘이게 뭐지?’ 싶었고, 솔직히 말하면 걱정도 앞섰다. 총을 쏘고, 팀을 짜고, 밤늦게까지 모니터 앞에 앉아 있는 모습이 내겐 익숙하지 않았다. ‘게임 중독 아닐까’ 하는 불안감이 들었고, 몇 번이나 그만하라고 말하고 싶었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 아이가 좋아하는 세계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을까?” 그 질문이, 내 태도를 바꾸게 만들었다.
'발로란트'라는 낯선 세계
발로란트는 5대5 팀 기반의 전술 FPS 게임이다. 각 플레이어는 ‘에이전트’라는 캐릭터를 선택해 스킬을 활용하고, 전략적으로 상대 팀과 싸운다. 딸은 ‘제트’라는 빠른 이동이 가능한 캐릭터를 자주 사용했다. 어느 날, 딸이 스스로 나에게 게임을 설명해주기 시작했다.
“엄마, 이건 단순한 총싸움 게임이 아니야. 팀플레이가 진짜 중요해. 서로 위치 공유하고, 협동해서 움직여야 이길 수 있어.”
나는 그 말을 들으면서 놀랐다. ‘협동’? ‘전략’? 내가 알고 있던 게임의 이미지와는 달랐다. 처음으로, 이 게임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서는 무언가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독’이라는 프레임을 벗어나기
우리는 흔히 아이가 어떤 것에 푹 빠지면 ‘중독’이라는 단어부터 떠올린다. 하지만 중독과 몰입은 분명히 다르다. 아이가 집중하고, 즐기고, 거기서 성취감을 느끼는 건 건강한 과정일 수도 있다. 물론, 시간을 조절하지 못하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그걸 무조건 끊는 게 답일까?
오히려 나는 딸과 함께 게임에 대해 이야기하며 **'시간 관리'라는 개념**을 함께 만들기로 했다. 일과 숙제를 다 한 후에는 발로란트를 해도 좋지만, 하루 2시간 이내로 하자는 약속을 함께 정했다.
그 약속은 단순한 규제가 아니라, **서로 간의 신뢰와 존중의 표현**이 되었다.
게임을 통한 대화, 그리고 연결
놀랍게도, 게임은 우리 사이의 대화의 창이 되었다. 딸은 요즘 어떤 팀원과 플레이했는지, 어떤 판에서 MVP를 했는지를 자랑스럽게 말해준다. 나는 그 이야기를 진심으로 들어준다. “그럼 오늘은 누구랑 했어?” “제트 말고 다른 캐릭터도 해봤어?”
이런 질문들이, 예전에는 없던 대화의 길을 열었다. 단절이 아닌 연결. 그게 내가 게임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이었다.
게임을 함께 지켜보는 부모의 역할
게임을 무조건 나쁘다고 여기기보다는, 같이 ‘지켜보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됐다. 아이가 빠져 있는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 그리고 그 안에서 건강한 규칙과 함께 하는 경험을 만드는 것. 그것이 진짜 디지털 시대의 부모 역할 아닐까?
지금도 딸은 발로란트를 좋아한다. 나는 여전히 게임에 능숙하지 않지만, 최소한 딸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그걸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는 알게 되었다.
게임은 소통의 시작이 될 수 있다
‘게임은 나쁘다’는 말보다, ‘게임을 이해하자’는 말이 더 필요한 시대다. 발로란트는 우리 가족에게 그런 기회를 주었다. **딸을 통제하려 하지 않고, 함께 바라보려는 노력**이 우리를 더 가깝게 만들었다.
당신의 아이도 게임을 좋아하는가? 그렇다면 지금, 그 아이의 세계에 한 걸음 들어가 보기를 추천한다. 그곳엔 우리가 예상치 못한 소통의 기회가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다음 콘텐츠 예고
다음 편: “발로란트가 뭐길래? 부모도 이해하는 게임 구조 총정리”
게임을 이해하려는 부모들을 위한 실전 가이드! FPS, 에이전트, 라운드 개념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디지털 육아 & 자녀와의 스마트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가족 모두 스마트폰 중독입니다 – 세대별 중독 원인과 현실적인 해법 (1) | 2025.09.16 |
---|---|
게임 끊게 하면 더 숨긴다– 아이를 더 멀어지게 하는 부모의 실수 3가지 (2) | 2025.09.09 |
아이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문제는 길이가 아니라 ‘이것’이다– 자녀가 스마트폰에서 무엇을 하는지가 더 중요한 이유 (2) | 2025.09.08 |
부모가 무심코 하는 스마트폰 관련 말, 자녀 뇌에 남는 심리적 영향 5가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 습관도 아이의 심리에 큰 영향을 준다 (0) | 2025.09.08 |
사춘기 자녀가 문을 닫고 대화하지 않을 때, 부모가 해야 할 5가지 행동 (1) | 2025.09.06 |